회전근개란?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등의 4가지 근육과 그 주변의 힘줄 및 관절부위를 폭넓게 의미합니다. 회전근개는 팔을 안으로 혹은 밖으로 돌리는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한 관절 부위입니다. 견갑골과 회전근개 사이에 점액낭이 있어서 관절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 중 하나이며, 한 번 다치면 회복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부위입니다.
회전근개 파열 증상 및 원인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을 느끼면서 소리가 난다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흔히 많이 착각하는 것이 회전근개 파열과 오십견입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근육 또는 힘줄이 파열되는 것이고, 오십견은 관절낭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회전근개가 파열되었을 때 증상으로는 어깨를 돌릴 때 삼각근의 통증, 가동범위 감소, 근력 저하, 수면 시 불편함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허리 뒤로 양손을 깍지 끼고 팔을 펴는 동작이 안 되는 경우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회전근개가 파열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회전근개 4가지 근육 중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부위가 극하근과 소원근입니다. 현대인은 어깨뼈가 말린 상태, 라운드숄더의 체형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좌식 생활을 하고 모니터를 많이 보는 생활습관 때문인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어깨가 말린 경우 극하근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이렇게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통증이 유발되고 심해질 경우 극하근 파열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 팔을 몸 뒤로 빼서 힘을 폭발적으로 내야 하는 스포츠를 할 경우 회전근개 파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로 공 던지기와 라켓 스포츠인데, 테니스, 배드민턴, 야구 등이 있고 수영도 회전근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때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부위도 극하근인 경우가 많습니다. 스포츠뿐만 아니라 벤치프레스, 숄더 프레스 등 어깨에 부담을 주는 상체 웨이트 트레이닝 시에 회전근개가 파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 시에 조심해야 될 부분이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부분적인 파열임에도 강한 통증일 수도 있고, 심각한 파열임에도 통증이 약할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통증만으로 판단하지 말고, 미세하게라도 통증이 있거나 가동범위가 심하게 줄었다면 병원이나 스포츠재활센터에 방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회전근개 파열 시 치료 및 재활방법
회전근개가 일단 파열되고 나면 회복하는 데에도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약해져서 다시 파열될 가능성도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파열이 안 되도록 충분한 어깨 스트레칭과 어깨 주변근육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단 파열이 되고 통증이 있는 상태라면 치료를 하고 재활을 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첫 번째 휴식입니다. 어깨 관절을 최대한 쓰지 않고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휴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수술입니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회전근개힘줄을 봉합하기도 합니다. 이 방법은 심각한 경우에만 하는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세 번째 방법은 약물치료입니다. 항염증제를 처방하기도 하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경우 과량을 사용하지 않도록 전문의와 상담 후에 적정량을 처방받아야 합니다. 위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어느 정도 치료를 했다면 재활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재활치료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강화하는 훈련, 어깨의 근력을 강화하는 훈련, 근막 이완 마사지를 통해 근육을 이완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회전 근개 중 소원근과 극하근은 움직임이 작고 세밀하기 때문에 저중량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으며, 점점 횟수를 늘리고 중량은 천천히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을 권장합니다. 근막 이완 마사지를 할 경우에는 폼롤러와 마사지볼 등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안정화 트레이닝이 있습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사실 안정화 트레이닝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안정화 트레이닝을 건너뛰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정화 트레이닝의 예로는 짐볼 위에서 덤벨 벤치프레스 등으로 균형능력과 협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육의 안정화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건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그네슘 건강, 마그네슘 효능, 마그네슘 정의 (1) | 2023.08.16 |
---|---|
스트레스 관리 방법, 스트레스에 좋은 음식 (1) | 2023.08.15 |
오트밀과 귀리 차이 및 효능 알아보기, 오트밀 먹는 방법 (0) | 2023.08.13 |
크레아틴과 베타알라닌의 효능, 둘의 궁합 알아보기 (0) | 2023.08.12 |
L-글루타민, 아르기닌 효능 알아보기, 부작용은 없을까? (0) | 2023.08.11 |